본문 바로가기
건강 스포츠

배드민턴 기본 규칙 정리

by 스니컹 2022. 6. 27.
728x90
반응형

배드민턴 기본 규칙 정리

배드민턴은 대표적인 네트 스포츠 중 하나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오고 있는 스포츠입니다. 나이의 제한 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경쟁이 가능하고 실내 스포츠이기 때문에 날씨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되지 않아 인기입니다.

 

셔틀콕을 쳐서 네트를 넘겨 상대 진영으로 보내는 쉬운 기본 형식 덕분에 누구나 시작하기에도 좋은 종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드민턴의 게임에 있어 기본 규칙들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득점(스코어) 규칙]

  • 경기는 21점 만점으로 하며 3전 2선 승제로 구성됩니다.
  • 서브가 있을 때마다 득점이 일어나며 해당 랠리를 통해 이긴 쪽이 1점을 획득합니다.
  • 모두 20:20일 경우 먼저 2점 리드(연속 득점)한 쪽이 승리합니다.
  • 29:29인 경우에 먼저 득점하여 30점인 쪽이 승리합니다.
  • 게임에서 이긴 쪽이 다음 게임에서 먼저 서브합니다.

[서브 규칙(서비스 룰)]

  • 서브 하는 사람과 리시버는 코트 안 양쪽 대각선에 서야 합니다.
  • 서브하기 전 상대방이 준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서브했을 때 상대방이 리턴을 했을 경우 준비가 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서브 시 셔틀콕이 닿을 때 서버의 허리보다 밑에 있어야 합니다.(대략 마지막 갈비뼈보다 밑)
  • 셔틀콕을 치는 순간에 라켓의 샤프트(헤드와 손잡이 사이의 봉)가 아래를 향하고 있어야 합니다.
  • 리시버의 코트 안에 떨어져야 합니다.

[폴트, 반칙]

  • 치는 순간 셔틀콕이 서버의 허리보다 높거나 라켓의 헤드가 손잡이보다 높은 경우
  • 셔틀콕이 올바른 곳에 착지하지 못한 경우, 네트 밑이나 사이로 통과한 경우
  • 서버의 발이 서비스 코트에 있지 않거나 리시버의 발이 대각선 반대편에 있지 않은 경우
  • 앞으로 나아가면서 서브를 하는 경우
  • 셔틀콕이 네트를 넘어오기 전에 네트를 넘어 치거나 헛 쳤을 경우
  • 네트나 지지대에 라켓이나 선수의 몸이 닿았을 경우
  • 선수나 팀이 셔틀콕을 연속으로 두 번 친 경우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