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손 소독제의 부작용 및 위험,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손 소독제는 COVID-19(코로나 바이러스) 동안 그 효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휴대용 손 소독제 제품은 접촉 시 손 및 기타 표면의 세균을 죽이고 COVID-19와 같은 전염성 질병의 확산을 늦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손 소독제는 세균을 죽이는데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지만 사용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손 소독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건조하고 갈라진 피부뿐만 아니라 발적이나 변색, 벗겨짐이 발생할 수 있고, 혹여나 삼키거나 눈에 들어가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손 소독제의 부작용 및 위험
손 소독제의 부작용은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알코올로 손에 있는 세균을 죽이는 것을 의미하는데 알코올 함량이 낮더라도 손 소독제에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방부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피부 건조
알코올은 효과적인 방부제이므로 유기 표면의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죽이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또한 피부를 건조하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매일 여러 번 손에 바르면 제품이 피부에서 수분을 빼앗아 가고 있기 때문에 피부가 건조하고 벗겨지며 만지면 민감한 피부가 될 수 있습니다. - 습진 유발
손 소독제가 손에 묻은 후 가렵고 붉거나 변색된 습진 증상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습진이 있는 경우 화학 물질이 실제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호르몬에 영향
일부 제품엔 트리클로산이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박테리아를 죽이기 위한 것으로 치약부터 바디워시까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 따르면 트리클로산에 대한 노출 정도가 높을 때 자연 호르몬 주기를 방해하고 심지어 생식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영향에 대한 확실한 결과를 위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미 여러 유형의 제품에서 금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 항생제 내성에 기여
트리클로산은 박테리아를 죽이기 위한 것이지만 소비자 제품에 이 성분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가 증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삼키면 해로울 수 있음
다량의 알코올 및 기타 성분으로 인해 손 소독제는 사람이 섭취했을 시 안전하지 않습니다. - 눈에 들어가면 시력 손상 또는 실명을 일으킬 수 있음
손 소독제를 바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실수로 눈을 만지는 경우는 상당히 많습니다. 그러나 손 소독제의 높은 수준의 알코올은 실제로 눈의 바깥층에 화학적 화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손 소독제로 인한 눈의 손상은 완전히 치유되지만 치유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흐릿한 시야, 통증, 홍반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손 소독제 사용 주의사항
손 소독제를 구입하기 전에 성분 라벨을 읽고 권장 사항에 따라 사용량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어린이가 손 소독제를 사용할 때 항상 주시, 감독하세요.
- 사용 후 손이 완전히 마를 때까지 기다렸다가 눈이나 얼굴을 만질 수 있도록 하세요.
- 알코올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손 소독제를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세요.
- 과용하지 마세요.
- 인체 외부 사용에만 충실하세요.
손 소독제의 장점과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장점]
- 대부분의 표면에서 박테리아 유형을 빠르게 죽입니다.
- 손을 씻는 것보다 시간적으로 효과적입니다.
- 사용법이 편리합니다.
손 소독제를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려면 손에 눈에 보이는 먼지가 없을 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적정량 한 번(또는 그 이하)의 양만 사용하고 손 소독제가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손을 문지릅니다. 그리고 최상의 결과를 위해 손 소독제가 마른 후 핸드크림을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건강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가 탈모에 미치는 영향 (0) | 2022.10.11 |
---|---|
달리기(러닝)가 무릎에 미치는 영향 (0) | 2022.10.07 |
요가의 위험성과 안전하게 하는 법 (0) | 2022.09.27 |
임신 중 수영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주의사항, 장점, 팁) (2) | 2022.09.23 |
목의 긴장 원인, 증상, 예방 및 치료 (1) | 2022.09.07 |
댓글